top of page
작성자 사진최화인

[최화인의 디지털경제] 페이스북 리브라가 가져올 변화



6월 18일 페이스북은 "세계에서 통용할 수 있는 간편한 형태 화폐를 발행하겠다"며 리브라(디지털 화폐) 프로젝트 백서(white paper)를 공개했다. 2020년 상반기 출시가 목표다.


페이스북 발표 직후 세계 금융기관과 정부는 엇갈린 반응을 쏟아낸다. 7월 16~17일 미국 상·하원은 관련 청문회를 연달아 진행했다. 우리나라 금융위원회도 이례적으로 분석보고서를 냈다.


이미 지난 몇 년간 리플, 테더, JPM 등 상당수 디지털화폐가 등장했다. 하지만 이토록 격렬한 반응은 없었다. 과연 리브라가 가져올 변화가 무엇이기에 전 세계가 이토록 뜨겁게 반응할까. 이에 리브라 주요 특징과 향후 전망을 3회에 걸쳐 알아보고자 한다.


◇ 목표는 금융 공공성 강화…‘금융민주주의(financial democracy)’ 확대


페이스북이 리브라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내세운 표면적인 목적은 금융의 공공성 강화다.


현재 세계 성인의 절반인 약 17억명은 은행계좌가 없다. 그 중 10억명은 휴대폰을 갖고 있다. 또 5억명은 인터넷을 쓸 줄 안다. 이 말은 만약 페이스북이 휴대폰과 인터넷으로 이용 가능한 금융 네트워크를 제공하면 기존에 은행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던 17억명 중 다수의 금융소외계층이 송금과 결제를 비롯한 다양한 금융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경제적 취약계층인 이주노동자는 선진국 시민들 대비 더 적은 임금을 받는다. 하지만 더 많은 금융수수료를 지불한다. 이들이 지불하는 송금 수수료는 연간 250억달러(29조원) 규모다. 이는 현재 국제송금 시스템이 많은 중계기관과 보증기관을 필요로 하는 분절적 구조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거나 낙후된 지역일수록 보증기관이 추가돼 비용은 급격히 올라간다.


페이스북 주장대로 앱과 웹을 통해 리브라 금융 네트워크에 접속해 국경 제약 없이 세계 어디서나 싸고 쉽고 안전한 송금·결제가 가능해지면, 금융 접근성을 크게 개선시켰다는 점에서 ‘금융민주주의(financial democracy)’의 새로운 장이 열릴 전망이다.


◇제2 목표는 ‘화폐인터넷(the internet of money)’ 구축…플랫폼 선점


페이스북의 ‘금융 공공성 강화’라는 표면적인 대의 이면에 페이스북이 리브라 프로젝트를 추진한 진짜 의도가 무엇인지 정확히 짚어볼 필요가 있다.


인터넷 보급은 우리 생활을 혁명적으로 바꿨다. 이미 인터넷은 모든 변화와 발전의 전제이자 기본(디폴트)값에 해당한다. 페이스북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리브라 코인을 매개로 네트워크가 연결되고 플랫폼이 활성화되는 ‘화폐인터넷’를 구축하려고 한다. 필자 판단은 리브라 프로젝트 진짜 목적은 여기에 있다.


페이스북 월간 활성 가입자수(휴면계정을 제외한 실제 이용자수)는 20억명에서 27억명에 이른다. 평균 25억명 정도에 이르는 이용자를 가진 페이스북 그 자체가 이미 훌륭한 유통 네트워크이자 서비스 플랫폼이다.


이 네트워크 안에 독자적인 화폐로 이커머스와 금융 플랫폼을 마련하면 그 즉시 세계 최대 ‘화폐공간’이자 ‘전자상거래시장’이 된다. 페이스북 리브라가 가진 엄청난 잠재력이자 차이점이 바로 25억명에 달하는 이용자(user)를 이미 확보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등장했던 디지털화폐는 금융 영역과 이커머스 영역이 분리됐다. 테더 같은 스테이블 코인이나 각국 법정화폐가 디지털로 발행된다 하더라도 이런 돈은 기본적으로 화폐 영역에 국한됐다.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려면 해당 사이트가 받아주는 돈으로 바꿔야 이용 가능하다. 물론 제휴를 통해 해당 화폐를 해당 사이트로 바로 송금해서(이른바 ‘충전’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기존 디지털 화폐는 화폐 영역에서 이커머스 혹은 서비스 구매 영역으로 이동하는 데 환전 또는 송금 과정을 거쳐야 했다. 우리나라 돈을 미국에서 쓰려면 은행에 가서 원화를 달러로 교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페이스북 리브라는 다르다. 해당 네트워크 안에 상품구매와 서비스이용 플랫폼을 구축하면, 돈을 쓰는데 어떠한 중간과정도 필요 없다. 화폐 영역과 전자상거래 영역이 정확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다른 디지털화폐처럼 화폐 영역에서 전자상거래 영역으로 다시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리브라 편의성이 커질수록 네트워크는 확장되고 플랫폼은 공고해질 것으로 보여지는 이유다. 리브라로 모든 상품과 서비스 결제가 가능해지면 굳이 각국 화폐로 환전할 이유도 없어진다. 세계 어디서나 공용 세계화폐인 리브라를 쓰면 된다.


리브라 등장에 각국 중앙은행들이 긴장하는 이유도 화폐공간 격차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달러를 제외한 각국 법화가 화폐공간을 특정국가 국경으로 제한받는 것과는 달리 리브라는 페이스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 어디서든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구 그 자체가 ‘화폐공간’이 된다. 경쟁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리브라 화폐공간은 리브라가 통용되는 금융·상품·서비스·유통 공간이자, 리브라 네트워크가 연결된 영역이다. 이것이 바로 리브라의 ‘화폐인터넷’이다.


인터넷 세상에서는 1위 기업이 시장의 대부분을 독식한다. 구글이 전세계 검색량의 90% 이상을 점유하며 독식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제 페이스북은 금융·상품·서비스·유통의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방법으로 리브라를 매개로 한 ‘화폐인터넷’을 선택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인터넷 기반 플랫폼 산업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방법으로 돈을 선택한 것이다. 그렇다면 역으로 리브라 네트워크 플랫폼에 들어가지 못하는 기업은 어떻게 될까. 페이스북 화폐인터넷 밖에서 독자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을까.


※ 2편에서 계속됩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