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뮤캅스 리포트] TRUMP 코인 분석 리포트

  • 뮤캅스에서 트럼프 대통령 밈코인 TRUMP(오피셜트럼프) 코인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1. TRUMP 코인 살펴보기


■ TRUMP 코인 개요


  • TRUMP 코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정치적 상징성과 그를 지지하는 커뮤니티의 파워를 기반으로 하는 ‘밈코인’입니다.

  • 단기 트레이딩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아 단기 수익실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TRUMP 코인은 유틸리티성이 부족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가격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에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 TRUMP 코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트럼프 재단(The Trump Organization 산하의 CIC Digital LLC와 Fight Fight Fight LLC)에 의해 발행된 ‘밈코인’입니다.

  • 솔라나(Sol) 네트워크에서 25년 1월 17일에 발행(Mint)되었고, 발행 총량은 10억 개 입니다.

  • TRUMP 코인 홈페이지와 SNS 계정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오피셜트럼프 홈페이지 : https://gettrumpmemes.com/ ※ 오피셜트럼프 X 계정 : https://x.com/GetTrumpMemes

■ TRUMP 코인 배분 및 락업 해제 계획


  • TRUMP 코인의 80%는 트럼프 재단 보유의 Official Trump Meme Team의 지갑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시중에 풀린 20%의 TRUMP 코인은 대부분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TRUMP 코인 보유 순위 약 30권 내의 지갑 대부분이 거래소 지갑입니다.


  • TRUMP 코인의 80%가 재단 및 관계자 지갑에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TRUMP 계열사에서 80%의 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익을 받게 되는 점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 중앙집중화 된 TRUMP 코인 보유 구조는 시세조종의 우려가 있으며, 락업 해제되는 80%의 물량의 사용처나 활용에 대한 계획을 밝히지 않고 있어 투자에 리스크입니다.


  • 배분 계획에 이어 락업 계획을 살펴보면, TRUMP 코인은 발행 시점부터 총 36개월 간에 걸쳐 총 발행량의 100%를 락업 해제하는 계획을 제시합니다.

  • 그러나 12개월 차에 락업 해제 물량을 포함한 전체 발행량의 50% 이상이 시중에 유통될 수 있게 됩니다.

  • 유동성 조절, 가격 방어 등을 위한 목적으로 락업 일정이 계획되기 보다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내에 전체 물량을 쏟아내겠다는 목적이 보이는 계획입니다.

  • 이와 같은 배분 계획이 이행되었을 때, 과도하게 공급된 유동성으로 인해 TRUMP 코인의 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 TRUMP 코인 ON-CHAIN DATA 분석


  • TRUMP 코인 주요 지갑과 지갑 간 발생한 주요 전송 내역입니다.

  • 트럼프 재단의 지갑(지갑명 : Official Trump Meme Team Allocation)인 [HkykUVWTctptXZmRTWearMsH4SaQNmE4Ku3tMJe5v2mH]에 전체 발행량의 80%인 약 8억 개가 보관되어 있습니다.

  • DEX 거래소 중 하나인 Meteora VD 거래소에서 TRUMP 코인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25년 4월 1일자 현재 약 1,158만 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1,700억 원 규모에 해당합니다. ※ Account : [AK93dERw7MJsGFBUPfV1bkXzDviJZM1K6vg2yGDugk7L] ※ Meteora VD 거래소 : https://app.meteora.ag/

  • TRUMP 코인에서 발생한 거래 내역을 추적하던 중 특정 지갑을 중심으로 자전거래의 패턴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위 구조도는 TRUMP 코인의 핵심 지갑인 9cUcZ4...PTJk를 중심으로, 여러 지갑들과의 빈번한 상호 전송(자전거래) 관계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 전체적으로 코인의 인위적인 유통량 조절, 거래량 부풀리기, 또는 가격 안정 시도와 같은 인위적 거래의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하에서는 그림에서 나타난 특징을 4가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중앙 허브 역할의 지갑 존재

    • 9cUcZ4...PTJk 지갑이 본 구조의 자전거래 핵심 지갑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다수의 지갑과 토큰을 송수신하며 중심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보유량은 약 267만 개로, 상위 지갑들에 비해 비교적 소량이지만 거래 흐름의 중심 위치에 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 시사점 : 보유량보다 거래 빈도나 중계 기능이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허수 거래 또는 시세 조정 시도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다수의 반복 연결 및 쌍방 거래

    • 다수의 지갑들(예: GRLKWF...Rzq8, AK93dE...gk7L, FpfwFu...yuwW 등)은 이 핵심 지갑과 양방향 거래 화살표로 연결되어 있어 반복적 전송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 특히 GRLKWF..Rzq8 지갑은 4,391만 개를 보유 중으로, 단일 지갑 기준 가장 많은 보유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시사점 : 상대적으로 많은 코인을 보유한 지갑들 간의 다단 분산 전송은 인위적 거래량의 유발 또는 유통량 조절의 정황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반복 거래는 일반 사용자의 거래 패턴과는 다릅니다.

  • 거래소 추정 지갑과의 연계

    • AK93dE...gk7L는 앞서 다른 도식에서도 확인된 거래소(Meteora VD) 관련 지갑으로 추정되며, 이 구조 내에서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 이는 자전거래 구조가 단순히 내부 순환이 아닌 외부 유통시장과도 일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시시점 : 자전거래가 일정 비율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로, 실제 유동성 왜곡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보유량 간 격차 및 거래 집중성

    • 구조 내 일부 지갑은 1,000만~4,000만 개에 달하는 상당한 물량을 보유한 반면, 중심지갑(9cUcZ4...)은 보유량이 낮습니다.

    • 이는 실제 보관 목적이 아닌, ‘거래 통로용’으로 기능하는 지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지갑 간 거래가 다양하게 퍼져 있지만, 흐름의 대부분이 특정 핵심 경로를 반복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분산 구조와는 거리감이 있습니다.


  • TRUMP 코인 Transaction은 화요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시간대별로 살펴보면 13시부터 20시에 거래가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 특정 요일 및 시간에 transaciton이 집중되는 것은 거래의 흐름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특정 요일 및 특정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거래가 발생하는 것은 ‘봇’을 활용한 인위적인 거래량 부풀리기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TRUMP 코인 상장 거래소 및 가격 변화


  • TRUMP 코인은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Bybit, OKX, 업비트, 빗썸 등 국내외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 25년 3월 26일 기준 24시간 거래량은 약 3억 7천만 달러 (약 5,426억 원)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25년 1월 20일 24시간 거래량 최고점이던2억 달러 (약 5조 원) 대비 90%가 감소하였습니다.


  • TRUMP 코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이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크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 밈코인의 특성 상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지난 2달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간 최고점 대비 가격과 시가총액이 약 85% 감소하였습니다.

  • 지난 3월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X 계정에 TRUMP 코인을 홍보한 직후 약 15%가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1. TRUMP 코인과 주요 밈코인의 비교 분석


  • 다음으로 TRUMP 코인과 주요 밈코인의 특성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TRUMP 코인도널드 트럼프라는 강력한 정치적 인물을 기반으로 한 정치 이슈 중심의 밈코인으로, 2025년에 출시된 신생 코인입니다. Solana 네트워크 기반으로 빠른 거래 속도를 제공하며, 총 발행량이 10억 개로 제한되어 있어 희소성이 존재합니다. 정치 일정, 트럼프의 발언, 선거 등 사회적 이슈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어, 트럼프의 관련 발언이나 특정 사건 발생 시 급격한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DOGE 코인2013년에 출시된 최초의 밈코인으로, 긴 역사와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여전히 대표적인 밈코인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발행량에는 제한이 없으며, 인플레이션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성과 커뮤니티의 지지가 매우 강합니다. 특히 일론 머스크의 발언 하나로도 가격이 크게 움직일 정도로 최근 그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 SHIB도지코인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후속 밈코인으로, 2020년에 출시되었습니다. 발행량은 매우 많지만, 커뮤니티의 활발한 활동과 주요 거래소 상장을 통해 급속히 성장하였습니다.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자체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도 진행 중이며, 일부 유틸리티 기능이 도입되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 PEPE는 2023년에 등장한 최근 트렌드 기반의 순수 밈코인으로, 유명한 밈 캐릭터인 ‘페페’를 중심으로 한 유행성과 커뮤니티 열기가 특징입니다. 본질적으로는 높은 투기성을 띠며 단기간의 급등락이 잦은 편입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ERC-20 기반으로 발행되어,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거래할 수 있다는 접근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집니다.


  • TRUMP 코인은 비교적 최근인 2025년에 출시되었으며, 출시가가 약 12,500원으로 다른 밈코인들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으로 시작했습니다. 최고가는 약 107,000원까지 치솟으며 정치적 이슈와 트럼프의 발언, 이벤트 등에 따라 단기적인 가격 급등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현재가는 17,000원 수준으로 조정되었지만, 여전히 출시가 대비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어 다른 밈코인들과는 달리 상승폭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DOGE 코인은 2013년에 출시된 가장 오래된 밈코인으로, 출시가는0.315원에 불과했으나 이후 최대 707원까지 상승하며 약 2,245배의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는 일론 머스크의 발언 등 외부 요인에 따른 가격 급등 사례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가는 288원으로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초기 투자자들에게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SHIB는 2020년 출시 이후 단 0.0000012원의 극초저가로 시작하여 최대 0.092원까지 상승해 약 76,667배에 달하는 폭발적인 상승을 경험한 대표적인 저가 밈코인입니다. 하지만 현재가는 0.021원으로 크게 조정된 상태이며, 이는 과도한 기대감으로 형성된 가격 거품이 빠진 영향입니다.

  • PEPE 역시 최근 트렌드에 따라 2023년에 등장한 신생 밈코인으로, 단 0.0000024원에서 시작해 최대 0.037원까지 상승하며 약 15,417배의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현재가는 0.012원으로 조정되었으며, 이는 짧은 유행성과 높은 투기성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DOGE, SHIB, PEPE는 모두 출시 초기에 매우 낮은 가격에서 시작해 단기간에 폭등한 후, 최고가 대비 60~80% 이상 조정된 공통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밈코인 특유의 이슈 기반 급등-급락 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며, 진입 시점과 외부 환경에 따라 수익률이 극단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특히, SHIB와 PEPE는 극초저가 코인으로 대중 심리상 진입이 쉬워 많은 투자자 유입을 경험했지만, 과도한 발행량과 유틸리티 부족 등의 한계로 인해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변동성 리스크가 매우 큰 자산군으로 분류됩니다.

  • 결론적으로, 밈코인은 단기적인 이슈나 유행에 따라 급등할 수 있는 잠재력은 있으나, 대부분 극단적인 가격 조정과 투기성, 유틸리티 부족이라는 공통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어, 투자 시 진입 타이밍과 리스크 관리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밈코인들은 전통적인 암호화폐와 달리 유틸리티보다는 이미지나 이슈 중심으로 가격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TRUMP(오피셜트럼프), DOGE(도지코인), SHIB(시바이누), PEPE(페페코인) 모두 이러한 성격을 공유하며, 가격 변동과 리스크, 전망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적 경향을 보입니다.


  • 가격 변동 요인

    • 밈코인의 가격은 일반적인 시장 수요공급보다는 사회적 이슈나 유명 인물의 언급에 따라 급등락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 TRUMP 코인은 도널드 트럼프의 발언이나 정치적 이슈, DOGE는 일론 머스크의 SNS 언급, SHIB는 도지코인의 가격 흐름, PEPE는 밈 커뮤니티의 지지와 관심이 직접적인 가격 영향을 미칩니다.

    • 이러한 공통점은 결국, 사회적 이슈의 발생이나 밈코인과 관련된 상징적 인물의 행보에 따라 급격한 가격 변화가 발생한다는 점으로 귀결됩니다.


  • 리스크 요인

    • 이들 밈코인은 공통적으로 유틸리티성이 부족하거나 존재하지 않으며,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기능보다는 밈(이미지) 또는 인물의 상징성에 의존해 가격이 형성됩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 입장에서는 근거 있는 가치평가가 어렵고, 과도한 투기성에 노출될 위험이 큽니다.


  • 가격 전망

    • 밈코인들은 자체적인 독립 움직임보다는 알트코인 시장 전체의 흐름에 동조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즉, 시장 전체가 상승세일 때는 밈코인들도 같이 오르며, 반대로 시장이 침체되면 밈코인 역시 하락세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동조화 현상은 밈코인의 가격 전망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며, 타 자산과 비교해 극단적인 변동성을 동반합니다.


  • 밈코인은 공통적으로 유머나 대중문화에서 출발한 상징성을 기반으로 가격이 형성되지만, 각각의 밈코인은 고유의 출발 배경과 리스크 요인, 생태계 확장성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 TRUMP 코인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라는 정치적 인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밈코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밈코인들과는 달리 정치적 발언, 정책, 선거 등의 외부 요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큽니다. 정치색이 강한 만큼 정치적 리스크, 중앙화 우려, 명확한 방향성 부족 등의 위험 요인이 존재합니다. 생태계는 아직 초기 단계로, 확장성은 낮은 편입니다.

  • DOGE 코인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던 시바견 이미지에서 유래한 밈(유머) 중심의 코인으로, 특별한 유틸리티보다는 커뮤니티와 유명 인사들의 언급에 의해 가격이 형성되어 왔습니다. 무제한 발행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급 과잉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존재하며, 유틸리티와 생태계 확장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다만, 최초의 밈코인이라는 상징성과 일론 머스크 등의 영향력으로 여전히 강한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SHIB는 DOGE의 패러디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DeFi(탈중앙 금융) 생태계와 연계되면서 보다 실질적인 기능을 갖춘 방향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대규모의 토큰 유통량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래가 활발하지만 변동성도 큽니다. ShibaSwap 등 자체 생태계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어 밈코인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확장성이 중간 수준 이상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 PEPE는 인터넷에서 유행한 개구리 캐릭터 ‘페페’를 기반으로 한 순수 밈 트렌드 코인입니다. 구조적으로는 실용성보다는 커뮤니티와 유행에 따라 단기적으로 움직이는 성격이 강하며, 이에 따라 단기 투기성과 트렌드 의존성이 주요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생태계나 유틸리티 확장성은 현재까지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빠르게 소비되고 교체되는 트렌드 밈의 속성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초이스뮤온오프로고-회색조_edited.png
​초이스뮤온오프 주식회사

Copyright ⓒ Choi's MU:onoff All Right Reserved.

​주소

(KR)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2길 12-14, 4층

대표번호

(tel) 02-6338-3005   (fax) 0504-161-5373

​사업자등록번호

340-87-02697

대표이사

최화인

bottom of page